hosting = 인터넷에 연결되어서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사업
git hosting = 작업하고 있는 로컬 저장소의 버전을 업로드 할 원격 저장소를 임대해주는 사업
용어정리
지역 저장소 (Local Repository) = 작업을 해서 버전을 생성하는 컴퓨터
원격 저장소 (Remote Repository) = 지역 저장소의 버전을 업로드를 통해 지역 저장소랑 똑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소
Push = 지역저장소의 파일을 원격저장소로 업로드하는 것
Clone(복제) = 원격저장소의 파일을 새로운 지역 저장소에 복제하는 것
Pull = 원격저장소의 올라간 새로운 변경사항을 지역 저장소로 내려받는 것
원격저장소와 연결
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 이름 (원하는 걸로) 원격저장소 주소
git remote : 잘 연결됐는지 확인 - 원격저장소 이름 나오면 성공
git remote -v : 원격저장소 주소 확인
PUSH
git push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 처음에 복붙 해줘야 한다.
원격저장소에 성공적으로 올라간 것 확인할 수 있다.
복제
git clone 클론 주소
이렇게 하면 현재 있는 디렉토리에 복제되고
git clone 클론 주소 mydir 원하는 디렉토리
이렇게 하면 원하는 디렉토리에 복제할 수 있다
PULL
git pull 하면 수정버전 내려받아진다
'Git, Git 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활코딩 깃&깃허브 9장] 깃허브의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 (0) | 2023.05.20 |
---|---|
[생활코딩 깃&깃허브 8장] 깃허브에 사이트 올리기 (0) | 2023.05.13 |
[생활코딩 Git 1-2] 정리 노트 (0) | 2023.03.18 |